SQL이 뭐지?
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있겠지요~~
SQL에 대한 정의는 검색 한 번이면 많은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에서 "SQL 정의"로 검색한 번 해보겠습니다.
위키백과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SQL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 질의어)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자료의 검색과 관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과 수정, 데이터베이스 객체 접근 조정 관리를 위해 고안되었다. 많은 수의 데이터베이스 관련 프로그램들이 SQL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한 번에 이해하신 분도 계실 거고, 막연하다고 생각하신 분도 계시겠죠...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어입니다.
번역해보면, "구조화된 질의 언어"로 번역되는데요.
"구조화된 질의 언어"라... 음. 막연합니다.
음... 그러면 "누구한테 무엇을 질의할 때 사용하는 걸까요?"
누구한테? DBMS에게
무엇을? 알고 싶은 정보를
SQL은 "DBMS에게 알고 싶은 정보를 물어볼때 사용하는 언어"로 한줄요약 하겠습니다.
위 한줄요약은 SQL의 검색기능에 치우쳐 있지만 SQL중 검색이 차지하는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물론, 데이터의 생성과 수정, 권한의 관리 등 다른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자 그러면 DBMS는 또 뭐지?
위키백과 검색 고고
위키백과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영어: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이다. DBMS은 사용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의 요구를 처리하고 적절히 응답하여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하! 데이타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이구나.
그럼 데이타베이스는?
위키백과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데이터베이스(영어: database, DB)는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해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작성된 목록으로써 여러 응용 시스템들의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들의 묶음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속해있는 모델은 다양하다.
데이터는?
위키백과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자료(資料, data, 데이터, 문화어: 데타)는 문자, 숫자, 소리, 그림, 영상, 단어 등의 형태로 된 의미 단위이다. 보통 연구나 조사 등의 바탕이 되는 재료를 말하며, 자료를 의미있게 정리하면 정보가 된다. 자료(data)와 정보(information)는 서로 교환되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자료와 정보의 의미는 다르다.
여기 중요한 말이 나오네요.
"자료를 의미있게 정리하면 정보가 된다."
의미있는 정보를 위해 우리가 SQL을 공부하는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의미있는 정보를 모으기위한 데이터분석이 각광받고있고 많은 수요가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세계입니다.
여기서 쉬어가는 타임
세계에서 점유울이 높은 DBMS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DBMS 점유율 순위가 1위 Oracle, 2위 MySQL, 3위 Microsoft SQL Server, 4위 PostgreSQL, 5위 MongoDB
MySQL을 Oracle에서 인수했으니 독보적 1위네요,
오픈소스인 PostgreSQL이 4위를 차지하고 있네요.
저희 강의에서 사용할 DBMS입니다.
제가 코딩을 업으로 시작할때만 해도
파일시스템, 계층형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는 곳도 많았고...
DBMS를 사용하는 사이트도 Oracle 과 Infomix가 양분하고 있었는데 많이 바뀌었네요.
비용때문에 상용 DBMS에서 오픈 DBMS로 변경하는 사이트들이 늘어나면서
오픈소스였던 MySQL을 사용하는 사이트들이 많아졌었는데 MySQL을 인수한 Sun이 Oracle에 인수되면서
오픈소스 DBMS는 PostgreSQL, MariaDB 정도가 있네요.
참고로 MariaDB는 MySQL의 창시자였던 울프 미카엘 "몬티" 비데니우스(Ulf Michael "Monty" Widenius)가
MySQL의 상용화에 반대하여 만든 오픈소스 DBMS 입니다.
1962년 생이네요. 비데니우스 형님 존경합니다.
오늘 강좌는 여기까지이고요.
다음편에는
1. PostgreSQL의 설치방법
2. HeidiSQL의 설치방법
3. PostgreSQL에 SAMPLE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등을 주제로 진행하겠습니다.
'IT > SQL 기초강좌 (Postgr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강 SQL이 뭐지? SELECT DISTINCT 뽀개기 (3) | 2022.12.13 |
---|---|
5강 SQL이 뭐지? Column Aliases ORDER BY (4) | 2022.12.13 |
4강 SQL이 뭐지? 너와의 첫 만남... 살짝 설렜어... (6) | 2022.12.12 |
3강 SQL이 뭐지? 도구들을 설치해보자. ( PostgreSQL, HeidiSQL ) (17) | 2022.12.10 |
1강 (프롤로그) SQL 배우고 싶니? 유료강좌 싸다구 때려주께 ~~ (11) | 2022.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