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파이썬 기초 (Python)

#006 파이썬 기초 : 주피터 노트북 개발도구

by DoitSQL 2023. 2. 16.
728x90

jupyter notebook, Python기초강의강좌, 파이썬기초강의강좌

파이썬 기초 : 주피터 노트북 개발도구   

주피터 노트북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은 파이썬의 통합개발환경(IDE)이다.

 

주피터 노트북 (Jupyter Notebook) 이란?   

주피터 노트북이란 오픈소스 (Open source) 기반의 웹 플랫폼으로, 파이썬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 작성 및 실행하는 개발 환경을 말한다.

보통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모두 자체 프로그램을 통한 언어들인데 주피터 노트북은 특이하게 웹을 기반으로 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주피터 노트북은 데이터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이 될 수 있고 최근 들어 머신러닝, 딥러닝에 많이 활용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는 크게 3가지를 들 수 있다.

  • 시각화 (그래프, 마크다운)를 만드는데 아주 유용하다.
  •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한다.
  • 주피터 노트북은 쉘 단위로 코드를 단위 별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코드 관리가 쉽다. 개발 중간중간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주피터 노트북도 이러한 장점 외에도 단점이 있

바로 그건 주피터 노트북이 웹 기반 플랫폼이라는 고유 속성에서 오는 단점이다. 

바로 다른 디바이스에서 같은 프로젝트를 이어서 진행하기 까다롭다.

하지만 말 그대로 "까다롭다"이지 "불가능하다"는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큰 단점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또 주피터 노트북의 단점으로는, 코드 자동 완성 기능이 없으므로 코드를 짤 때 조금 불편하다.

 

주피터 노트북 실행하기   

아나콘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주파터 노트북이 같이 설치된다.

메뉴에서 Anaconda3 (64-bit) > Jupyter Notebook을 클릭한다.

 

웹 브라우저에 주피터 노트북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파이썬 노트북을 만들어보. 오른쪽 New버튼을 클릭한 뒤 Python 3을 클릭한다.

노트북

 

이제 새 노트북 화면이 나다. 주피터 노트북은 노트북이라는 말 그대로 공책을 사용하듯이 코드를 작성하면서 설명도 함께 넣을 수 있다.

 

그럼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설명부터 넣어보자. 메뉴의 드롭다운 목록에서 Markdown을 선택하고 빈칸에 다음 내용을 입력한다. #은 제목이라는 뜻이며 #이 하나씩 늘어날수록 하위 제목이 된다.

제목

이제 설명을 적용한 뒤 파이썬 코드를 입력해 보자.

메뉴에서 ▶| 버튼을 클릭하면 설명이 적용되고 아래에 셀(Cell)이 생긴다.

In [ ]:오른쪽에 print('Hello, world!')를 입력한다.

코드 입력

파이썬 코드를 입력했으면 실행을 해보

메뉴에서 다시 ▶| 버튼 (Ctrl + Enter로 실행할 수 있다.)을 클릭하면 코드가 실행되고 결과가 출력된다. 

이때 In로 바뀌는데 1은 첫 번째로 실행된 코드라는 뜻다. 

노트북에서는 코드 입력 셀이 추가될수록 숫자가 증가한다.

출력 결과

이런 방식으로 셀을 추가하면서 코드와 설명을 작성다. 

주피터 노트북은 코드, 코드의 실행 결과, 코드에 대한 설명을 한 번에 작성할 수 있어서 체계적인 기록이 가능다.

특히 한 노트북 안에 들어있는 코드 셀은 모두 실행 상태가 연결다. 

즉, 코드 셀에서 변수를 만들면 다른 코드 셀에서 해당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코드 셀의 실행 순서는 In [ ]:에 표시된 숫자 순서를 따르며 메뉴의 ↑↓ 버튼을 이용하여 코드 셀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코드 셀의 위치를 바꾸더라도 실행 순서는 In [ ]:의 숫자를 따른다).

 

노트북의 제목 바꾸기  

노트북의 제목을 바꾸려면 맨 위 Jupyter 로고 옆의 Untitled를 클릭하면 다. 

그리고 메뉴의 File > Save and Checkpoint를 클릭하면 노트북이 파일로 저장다. 

이번 실습에서는 노트북의 제목을 바꾸지 않았으므로 C:\Users\<사용자계정> 폴더에 C:\Users\<사용자계정> 폴더에 Untitled.ipynb파일로 저장.

(노트북이름. ipynb형식).

 

노트북 파일 저장 경로 바꾸기  

주피터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C:\Users\<사용자계정> 폴더에 노트북 파일을 저장한다. 

노트북 파일 저장 경로를 바꾸려면 --notebook-dir 옵션에 폴더를 지정해 주면 된다.

C:\Users\사용자계정> C:\Anaconda\python.exe -m notebook --notebook-dir 폴더위치

 

시작메뉴 > Anaconda3 (64-bit) > Jupyter Notebook의 노트북 파일 저장 경로를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Jupyter Notebook 메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자세히 > 파일 위치 열기를 클릭

탐색기 창에서 Jupyter Notebook 바로가기를 선택한 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속성(R) 클릭

속성 창의 대상(T)에서 % USERPROFILE%을 지우고 폴더위치 입력

변경
변경


이상으로 주피터 노트북의 실행 방법과 어디서나 다하는 'Hello, world!'를 출력해 보았다.

다른 프로그램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주피터 노트북은 생소한 개발도구이다.

 

다음 시간에는 다른 통합개발 도구인 파이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파이썬 기초를 학습할 때 둘 중 자신에게 편한 개발도구를 사용하면 된다.

 


Do it! SQL을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 ♥ , 댓글이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댓글